Git) 원격 저장소에 fetch와 pull 하기
·
깃 탐구
Git Bash로 원격 저장소에 fetch와 pull 하기 레포지토리에서 새로운 파일 추가해 보기 파일 이름, 텍스트, 커밋을 입력한 후 생성해 준다. 새로운 파일이 생성된 것이 확인되고 3개의 commit이 확인된다. 로컬 저장소에는 2개의 커밋이 확인된다. 원격 저장소의 커밋이 1개 앞서 있다. 로컬과 원격 저장소의 커밋에 차이가 생겼다. fetch 변경 사항만 가져오기 git fetch git fetch // "git push -u " 을 한 번이라도 입력했다면 "origin/main"브랜치가 한 커밋 앞서 있기 때문에 "HEAD -> main"으로 나와있다. fetch를 해서 아직 병합은 되지 않아 아직 두 저장소는 차이가 존재한다. fetch(가지고 온변경 사항만) 확인하기 1. 원격 저장소의 ..
소스트리) pull 하기
·
깃 탐구
소스트리에서 pull 하기 pull = fetch + merge pull은 변경사항을 확인하고 병합하는 명령을 같이 수행한다. 아래와 같이 두 저장소 사이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1. "Pull"을 클릭한다. 2. 경로와 브랜치를 확인하고 "Pull"을 클릭한다. fetch와 달리 바로 병합되었다.
소스트리) fetch하여 변경 사항 확인하기
·
깃 탐구
소스트리에서 fetch 하기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에 차이가 생겼다. 1. "패치"를 클릭한다. 2. "확인"을 누른다.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origin/main"이 생겼다. 로컬 저장소의 변경 사항만 가져왔기 때문에 로컬의 "main"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로컬에는 영향을 주진 않지만 변경사항은 확인이 가능하다. "main" 브랜치의 1은 1개의 커밋이 뒤쳐져있다라는 의미이다. 병합도 가능하다. 병합을 하고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가 같아졌다.
자바스크립트) fetch 실습
·
웹 탐구
fetch fetch("여기에 URL을 입력") URL을 입력해 준다. .then((res) => res.json()) 가져온 정보를 res라고 하여 res를 json형태로 만들라는 의미이다. .then((data) => { console.log(data); }); 그리고 그것을 data라고 하여 콘솔창에 data를 출력하라는 의미이다. Fetch 기본 코드 fetch("여기에 URL을 입력") .then((res) => res.json()) .then((data) => { console.log(data); }); 실습 Fetch 연습을 위한 페이지 실행하면 위와 같이 뜬다. 오른쪽 클릭을 하여 "검사"를 눌러준다. 화면의 "Console"을 클릭해 준다. 데이터가 잘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
오지랖 토끼
'FETCH'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