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와 메모리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기계어로 쓰인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한다.
CPU는 프로그램에 따라 외부에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억하고, 연산하며, 결과를 외부로 출력한다.
CPU는 컴퓨터 부품과 정보를 교환하면서 컴퓨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의 기본구성
레지스터
CPU안에는 여러 개의 레지스터가 존재하고 각기 다른 이름과 역할을 가지고 있다.
CPU에서 처리할 명령어 및 값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
산술논리연산장치(ALU)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
ALU의 구성
가산기
- 2개 이상의 입력된 수의 합을 계산하는 논리 회로
보수기
- 보수를 처리하는 논리회로
누산기
- 산술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계산하는 레지스터
- 계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간 값을 보관하는 레지스터
플리플롭
- 한 개의 비트를 저장하는 기억회로
데이터 레지스터
- 명령어를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데이터 레지스터는 워드(word)의 크기와 동일
- 워드(word)란, 한 번에 가져올 수 있는 명령어의 크기이다.
제어부(Control unit)
명령어의 해석과 올바른 실행을 위하여 CPU를 내부적으로 제어
RAM
RAM(Random Access Memory)라고도 한다.
RAM을 더 많이 확보하면 하드 드라이브에 기록되는 것과는
달리 거의 실시간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액세스 하고 읽을 수 있다.
RAM의 역할
컴퓨터가 애플리케이션 로딩이나 인터넷 검색, 스프레드시트 편집,
최신 게임 플레이 등 일상적인 작업을 대부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각 작업의 진행상황을 기억하는 동시에
이러한 작업들 사이에서 빠르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용량이 더 클수록 멀티태스킹에 유리하다.
메모리는 책상 공간에 비유할 수 있다.
책상이 넓으면 다양한 프로젝트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책상이 넓을수록 더 많은 종이와 폴더를 올려놓고 더 많은 작업을 할 수 있다.
서류 캐비닛을 뒤적여 볼 필요 없이 빠르게 정보 접근이 가능하다.
내용 참고 - crucial -
내용 참고 - 위키 백과 -
내용 참고 - 개발자를 향하여 -
내용 참고 - 혼공 -
'컴퓨터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스택(Stack)과 큐(Queue) (0) | 2023.07.27 |
---|---|
컴퓨터) 웹 서버(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iece) (0) | 2023.07.27 |
네트워크) TCP와 UDP (0) | 2023.07.26 |
컴퓨터) Spring MVC 에서의 예외 처리 기법 (0) | 2023.07.20 |
컴퓨터) REST API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