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트리) 스태시
·
깃 탐구
소스트리로 STASH 하기 (임시 저장) 기존의 텍스트에서 새로운 텍스트를 추가했다. 1. "파일 상태" 탭에서 작업 영역의 파일을 클릭하고 "스태시"를 클릭한다. 2. 메시지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왼쪽 사이드바의 "스태시"탭 아래 임시저장 메시지와 함께 생성되어 있다. 수정했던 파일에서 적은 텍스트는 사라져 있다. 스태시는 여러 개 생성도 가능하다. 스태시 적용 스태시를 오른쪽 클릭하고 "스태시 적용"을 누르면 적용이 된다. 폴더의 파일을 확인하면 임시저장했던 순간으로 돌아와 있다. 스테이지에는 올라가 있지 않은 상태이다. 스태시 삭제 "스태시 삭제"를 누른다.
소스트리) revert와 reset
·
깃 탐구
revert와 reset revert 리버트는 선택한 버전의 이전까지 되돌린 상태로 새로운 버전을 만든다. 1. 해당 버전의 오른쪽 클릭을 하여 "커밋 되돌리기..."를 클릭한다. 2. "예"를 눌러준다. 3. 해당 지점의 이전까지 되돌린 채로 새로운 버전을 생성하였다. 총 버전은 한 개가 늘어난 6개이다. 새로 만들어진 버전과 되돌리고자 한 버전의 내용을 비교하면 똑같음을 알 수 있다. reset reset은 revert와 달리 되돌린 것을 새로운 버전과 만들지 않고 시점 자체를 되돌린다. reset에는 3가지가 있다. soft : 스테이지에 올린 것까지 되돌린다. mixed : 스테이지에 올리기 전 작업환경까지 되돌린다. hard : 작업환경은 물론 그이전으로 상태를 완전히 되돌린다. "이 커밋까지 ..
소스트리) 버전 비교와 이전 버전 열기
·
깃 탐구
버전비교와 이전 버전 열기 버전 비교하기 1. 아래와 같이 5개의 버전이 생성되었다. 2. 버전확인을 위해 Ctrl을 누른 채로 임의로 두 개의 버전을 클릭한다. 3. 아래의 파일을 누르면 오른쪽에서 비교가 가능하다. 삭제된 내역은 빨간색으로 새로 생성된 내역은 멜론색으로 나타난다. 이전 버전 열기 1. 임의의 버전을 누르고 아래 파일에 오른쪽 클릭을 하고 "선택한 버전 열기"를 클릭한다. 2. 3번째 버전의 텍스트가 확인 가능하다.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
깃 탐구
커밋해시와 태그 커밋해시 커밋을 한다면 위의 그림과 같이 커밋해시를 확인할 수 있다. "[ ]"의 글자들은 커밋의 앞자리 일부분에서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커밋해시는 특정 커밋을 지칭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태그 생성하기 태그는 복잡하게 생긴 커밋해시보다 "v.1.0.0"처럼 유의미한 큰 변화가 있을 때 알아보기 쉽게 태그를 달아 주기도한다. 1. 해당 커밋에 오른쪽 클릭을 하여 "태그"를 클릭한다. 2. 태그 이름을 작성해 주고 "태그 추가"를 클릭한다. 태그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왼쪽 사이드 바에도 태그를 누르면 확인이 가능하다. 태그 삭제하기 1. 왼쪽 사이드바에서 태그를 오른쪽 클릭하여 "삭제"를 누른다. 2. "확인"을 누른다. 태그가 삭제된 것이 확인 가능하다.
소스트리) 스테이지에 올리기
·
깃 탐구
소스트리로 스테이지에 올리기 (버전 만들기) 1. ".git"이 있는 폴더에 텍스트를 작성해 주었다. 3. 해당 폴더에 변경 사항이 있다면 자동으로 스테이지에 올릴 파일을 보여준다. 둘 중에 하나를 클릭하여 스테이지에 올려준다. 4. 스테이지에 올라간것 확인 깃의 저장소는 아래와 같이 "로컬 저장소", "스테이지", "원격저장소"로 구분된다. 현재 "안녕.txt"는 "로컬 저장소"에 있고 위 작업은 "스테이지"에 올리기 위한 작업이다. 이 작업을 "add"라고 한다. 5. 커밋 메시지 적기 개발자들 사이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이 되기도 하며 자세하고 길게 적을 수록 좋다고 한다. 실제로 현업에서는 10줄이 훌쩍 넘는 경우도 많다. 최대한 자세하게 적는 습관을 들여보는 것이 좋다. 6. 커밋이 되었다면 스테이..
소스트리) 로컬 저장소 만들기
·
깃 탐구
소스트리로 로컬 저장소 만들기 1. "Create"를 클릭한다. 2. "탐색"을 클릭한다. 3. 경로를 설정해주고 "생성"을 누른다. 폴더가 없다면 폴더도 자동으로 생성해 준다. 4. 해당 폴더에 들어가서 ".git" 폴더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성공적으로 만들어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된다.
Git) 초기 설정 하기
·
깃 탐구
Git 초기 설정 깃 처음 시작 시 이름 등록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깃 처음 시작시 이메일 등록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깃은 버전을 관리하는 도구로서 새로운 버전이 만들어질 때 누가 만들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 등록된 이름 확인 git config user.name 등록된 이메일 확인 git config user.email GitBash 또는 CMD창 모두 사용 가능하다.
크롬 확장 프로그램) 백준허브
·
깃 탐구
백준허브(BaekjoonHub) 크롬 확장 프로그램 기능 Leetcode의 제출 코드를 자동 푸시해 주는 LeetHub라는 프로젝트를 포크 하여 만든 익스텐션으로, 백준, 프로그래머스, SWEA 문제를 해결하면 등록한 Github Repository에 자동으로 코드와 문제 요약을 푸시한다. 백준허브 다운로드 링크 백준허브(BaekjoonHub) Automatically integrate your BOJ submissions to GitHub chrome.google.com 확장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 "Chrome에 추가" 를 클릭한다. "확장 프로그램 추가" 를 클릭한다. 다운로드가 되면 위와 같은 메시지가 뜬다. 우측 상단의 퍼즐모양을 클릭한다. "백준허브(BaekjoonHub)"를 클릭한다. "Aut..
오지랖 토끼
'깃 탐구'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